카테고리 없음

요즘 청년들의 챗GPT 사용법/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프롬프트(명령어)

soosideas1222 2025. 2. 10. 11:15
728x90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81565.html

비밀 보장해 주고·논리적 분석…청년들 “챗GPT는 친한 친구”

(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꾸준히 직장을 다니며 안정적인 삶을 사는 게 유난히 어렵다고 느낀 박아무개(33)씨는 문득 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GPT)에

www.hani.co.kr


챗 GPT로 언어를 배우고 있던 나는
흥미로운 기사를 접하였다

한겨레에 인공지능과 ‘애착 관계’를 전한 이들은, 어떤 고민도 민폐가 될 리 없다는 안정감과 논리적 정리에 능한 특성을 그 이유로 꼽았다.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챗지피티 프롬프트(명령어)’도 공유된다. 대학생 이주연(24)씨는 이를 따라 “고민을 입력하기 전에, ‘①논리적으로 틀렸거나 인지 왜곡이 있다면 반박해 주고 ②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③의욕을 북돋아달라’는 명령어를 입력했다”라고 소개했다

①논리적으로 틀렸거나 인지 왜곡이 있다면 반박해 주고 ②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③의욕을 북돋아달라


철저한 익명성이 보장되면서
논리적 오류나 인지왜곡을 파악해 주므로
부정적인 생각이 심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뚜렷하다


고민을 들어주는 입장에서도
부정적인 감정에 동화되거나
현실적인 조언을 했을 때 상대방이 본인에 대한 비난으로 받아들이는 경우에 서로 기분이 상하게
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겠다

다른 접근 방식으로,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롬프트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 프롬프트는 자기 반성, 대안 탐색, 긍정적인 재구성을 중심으로 합니다.

1. 자기 반성 유도
• 명령어: 자기반성_유도
• 설명: “이번 문제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보셨을 때, 어떤 점에서 자신이 더 잘할 수 있었을까 생각해 본 적 있나요?”
• 추가 질문: “당신의 행동이나 반응이 이 상황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그 과정을 되짚어보면 어떤 점을 개선할 수 있을까요?”
2. 대안 탐색
• 명령어: 대안_탐색
• 설명: “현재 상황에서 다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여러 가지 대안을 떠올려 보세요. 한 가지 해결책에만 집중하지 말고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 추가 질문: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까요? 만약 지금까지 시도하지 않았던 방법을 써본다면 어떤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3. 긍정적인 재구성
• 명령어: 긍정적_재구성
• 설명: “이 어려운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교훈이나 성장의 기회는 무엇이 있을까요?”
• 추가 질문: “지금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당신이 배울 수 있는 점이나 앞으로 더 강해질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일까요?”
4. 스몰 윈(Small Wins) 설정
• 명령어: 스몰윈_설정
• 설명: “크고 어려운 목표를 하나씩 작은 단계로 나누어 보면 훨씬 더 실현 가능해질 수 있어요. 이번 주에 도전할 수 있는 작은 목표부터 설정해 볼까요?”
• 추가 질문: “오늘이나 내일이라도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은 무엇이 있을까요? 그걸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5. 자원 찾기
• 명령어: 자원_찾기
• 설명: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나 지원 네트워크가 있을까요? 친구, 가족, 전문가나 온라인 리소스 등을 떠올려 보세요.”
• 추가 질문: “당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나 도전적인 상황을 도와줄 사람은 누구일까요? 외부의 지원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6. 강점 재확인
• 명령어: 강점_재확인
• 설명: “어려운 상황일수록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게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어려움을 극복했던 경험을 떠올리면 어떤 강점이 있었나요?”
• 추가 질문: “이 강점을 바탕으로 이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세요.”

이 프롬프트는 자기 인식과 반성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과 사고 방식을 돌아보도록 유도하고,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며, 긍정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재구성하는 접근을 중심으로 합니다. 또한 작은 성취부터 시작해서 점진적인 성장을 유도하고, 외부 자원이나 지원을 고려하도록 도와줍니다.
- 챗 gpt


다만 서로에 대한 배려가
오히려 서로의 내밀함을 알아가는 친근한 행위를
억제하는 것 같아 씁쓸하지만
이게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인 듯하다

728x90